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다가구주택 주택 수 계산 핵심 가이드-등기부등본 하나로 1주택 vs 다주택 판단 끝내기

by Goods 2025. 4. 30.

 


1. 주택 수 결정 기준

  • 구분등기 여부: 각 가구별로 별도 등기개별 주택 인정
  • 통합등기 여부: 전체가 단일 등기1주택 인정
  • 예외 조건:
    • 19세대 이하 다가구주택 → 구분등기 없어도 1주택 특례 적용

2. 사례 분석

구분 내용 주택 수
Case 1: 4가구 통합등기 + 19세대 이하 2~4층 주거용, 근린시설 제외 1주택
Case 2: 가구별 구분등기 각 층 별도 등기 완료 4주택
Case 3: 20세대 초과 다가구 통합등기 여부와 무관 다주택

3. 필요 확인 서류

  1. 등기부등본: "표제부" 확인 → 구분등기 상태 파악
  2. 건축물대장: "세대수" 란 → 19세대 이하 여부 확인
  3. 용도변경 허가서: 근린시설 → 주거용 전환 이력 확인

4. 세무 리스크 포인트

  • 근린생활시설 혼용: 1층 비주거 부분은 주택에서 제외
  • 무단 용도변경: 주거용으로 허가되지 않은 층 → 과세 대상 제외
  • 임대사업자 등록: 주택임대소득 신고 시 추가 서류 필요

5. 실전 대응 매뉴얼

  1. 등기부등본 발급: 관할 등기소 방문 또는 온라인 발급
  2. 관할 세무서 상담: 사전 질의를 통한 공식 해석 확보
  3. 증빙 파일 관리:
    • 등기부등본 스캔본
    • 건축물대장 사본
    • 용도변경 허가서 (존재 시)

▶ 핵심 정리

  • 1주택 특례를 받으려면 → 19세대 이하 + 통합등기 필수
  • 다주택자로 분류되면 → 양도세·종부세 부담 ↑
  • 확인 절차:
    1. 등기부등본 확인 → 구분등기 여부
    2. 건축물대장 확인 → 세대 수
    3. 세무사 검토 → 최종 판단

등기부등본은 "표제부"의 등기번호를 확인하세요.
번호가 하나면 통합등기, 여러 개면 구분등기입니다.
국토교통부 "공간정보플랫폼"에서 온라인으로 간편 조회 가능하니,
꼭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!

반응형